마이크로파일 공법 개요 및 개략공사비
<MICRO PILE 공법 개요>
Micro Pile은 기존 건물의 유지보수 및 증축을 위한 기초보강공사 또는 신축 기초보강 용도로 사용되는 공법이다. 케이싱 역할을 하는 강관(직경150~300mm) 내부에 강봉(Thread Bar : 직경 40~90mm)를 설치하고 강관과 강봉 사이를 시멘트 페이스트로 충진하는 방식으로, 깊이는 보통 10~30m 내외로 암반에 2~3m 이상 정착시키는 구조다. 파일의 지지력은 암반 근입깊이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결정된다.
시공시 외관은 상부 토사부위만 설치하고 공벽이 유지되는 암반대부터는 강관 없이 강봉만 설치한다. 최근에는 외관을 제거하고 섬유질 호스를 활용하여 강봉과 섬유질 호스 사이에 페이스트를 주입하는 방식도 활용되고 있다.
1. 주입계획
1) 굴착 범위, 깊이 등 토질에 따른 작업계획 수립
2) 필요시 토질 정밀조사 ; 지층의 상태 확인
3) 매설물 조사 : 천공 및 주입압에 따른 피해 유무 확인
4) 주입공의 위치와 주입깊이, 주입압력 등 결정
2. 천 공
1) 설계서 명시 깊이 천공
2) 천공 후 HOLE 공벽 유지 위해 풍화암 -1M 까지 CASING 설치
3) 천공 완료 후 강관 내 SLIME 제거
3. 강봉(응력재) 삽입과 seal재 주입
1) 설계심도 천공 완료 후 강봉 삽입
2) 강봉은 시공 목적에 맞게 구조용 강재 사용
3) 강봉 삽입 후 외관 내부로 그라우팅용 호스 설치
4) seal재 중력식 주입
5) seal재 주입 완료 CASING 인발(케이싱 인발 없이 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4. 시멘트페이스트 GROUT 주입
1) SEAL제 주입완료 후 설계심도 하단부부터 주입
<개략공사비>
강봉 규격에 따라 단위 공사비에 차이가 있으며, 실시공비 기준으로 m당 개략 100,000원~150,000원 내외임.
'지반보강 및 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록공법 뉴스피플지 기사 (0) | 2015.08.12 |
---|---|
아산 둔포 기울어진 건물 (0) | 2014.05.14 |
LW공법 (0) | 2014.02.24 |
침하된 콘크리트 궤도 복원(인상) 사례 (0) | 2014.01.20 |
철도 콘크리트노반 복원공법 개발 : PRCG공법(건설경제신문 기사) (0) | 201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