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보강 및 복원 (32) 썸네일형 리스트형 GMP공법 1. 공법개요 GMP(Geo Multi-grout Pile)공법은 저유동성몰탈과 초미립자 그라우트재를 병행 주입하는 지반보강공법이다. 압밀성 연약지반이 깊게 형성된 지반에 저유동성 몰탈 Pile을 형성(압밀주입)하고, 기초 직하부 얕은 지반에는 초미립자 그라우트재를 주입(침투/압밀/할렬주입)하여 공극충진 및 지반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또한, 급결성 그라우트재를 기초판 하부에 다점/동시/가압주입하여 침하된 구조물을 복원(인상)할 수 있다. 1단계 : 깊은 지반보강 2단계 : 얕은 지반보강 3단계 : 침하구조물 복원 2. 공법원리 1) 연약지반이 깊게 형성된 지반에 저유동성 구근형 반력말뚝을 조성하여 주변지반의 압축다짐 효과로 밀도를 증진시킨다. 2) 기초 바로 하부지반에는 주변 구조물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 기울어진 22층 건물(아파트) 인상 사례 1. 건물 개요 1) 규모 : 지하2층~지상20층 아파트 2) 구조형식 : 철근콘크리트벽식구조, 매트기초(직접기초) 3) 지반조건 : 산악지형 경사지, 일부 절토 ~ 일부 성토 구간 구조물 시공 2. 적용 공법 : 디록공법(D-ROG) 초미립자 그라우트재 다점/동시주입에 의한 지반보강 및 복원 3. 기울기 현황 1) 침하량 : 약 150mm 2) 기울기 : 1/200 내외(D등급) 3) 침하원인 : 경사지(절성토 지반) 시공 구조물 하부 유수에 의한 토립자 유출 추정 4. 지반보강 및 복원공사 내용 1) 지반보강 - 보강 수량 : 88공 - 보강 깊이 : 2~6m(실트질 모래, N=20 내외) - 보강 방법 : 초미립자 그라우트재 충진에 의한 지내력 증진 - 설계지지력 30톤/M2 - 보강 후 지지력 확.. 포항지진 일주일....사그러들지 않는 액상화는 무엇?(오마이뉴스 기사) 포항 지진 일주일... 사그러들지 않는 액상화는 무엇? 액상화되어 물을 토해내는 포항 지층... 2차 피해 막을 수 있나 17.11.25 15:10l최종 업데이트 17.11.25 15:10l김연이(ouiouio1131) 복사 0 지난 15일 오후 2시 경,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일어났다. 지진의 여파로 인해 다음 날로 예정되어 있던 .. 저유동성 몰탈 주입공법 1. 개요 슬럼프(Slump)치가 5cm 이하인 저유동성 몰탈 주입재를 지중에 비배출형으로 압밀(compaction)주입하여 원주형 구근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변부의 흙을 사방으로 압축시켜 지반의 밀도를 증대시키는 지반보강 공법(CGS공법, GMP공법) 2. 공법 개요도 3. 공법 특성 가. 슬럼프치가 작아 주입재 이탈 적음. 나. 원통형 고결체 형성으로 주변 지반을 압축·강화시켜 전단저항 및 압축강도 증대. 다. 주입재 일축압축강도를 배합비에 따라 조절 가능. 라. 토질에 따라 개량범위, 고결체 형상 조절 가능. 마. 기존 구조물 주변 혹은 지하층 등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 작업 가능. 바. 압밀성 지반(연약지반)에 효과적임. 사. N치 10 이상의 비압밀성 지반(일반토사, 사질토 등)에서 균질한 구근형성.. 디록(D-ROG)공법 : 침하구조물 복원 및 지반보강 디록공법 동영상(D-ROG)(지반 보강 및 구조물 복원 공법) - YouTube * D-ROG : Digitalized Restoring on Grout 1. 개요 1) 기초 하부 소요 깊이까지 주입관을 설치하고, 중결성(겔타임 30~40초) 초미립자 그라우트재를 저압/침투시켜 지내력을 향상시키는 지반보강공법 2) 보강된 지반과 구조물 기초 사이에 급결성(겔타임 1~3초) 그라우트재를 다점·동시·가압 주입하여 침하된 구조물을 mm 단위로 복원하는 공법 2. 공법 특성 가. 부등침하 구조물 mm 단위 정밀 복원 나. 내진/증축/리모델링 지반보강 : 지내력 30~60톤/M2 확보 다. 다점·동시 주입으로 2차 불균등응력 발생 방지 및 공기 단축 라. 장비 소형, 협소 공간 작업 가능 : 피트층, 지하층, 전.. 문화재 지반보강 사례 : 군산 근대역사경관 조성사업 군산 근대역사경관 조성사업 중 건물 지반보강공사 1. 공사명 : 군산 근대역사경관 조성사업 중 지반보강공사 2. 공사 개요 1) 일제시대 시공된 시설물을 리모델링하여 활용 : 근대역사경관 조성사업 진행 2) 지반은 실트질 모래로 연약지반임. 3) 목조구조물을 리모델링하여 민박 및 전시 시설로 활용 4) 대상 구조물 : 2층 목조 주택 등 5개동 5) 지반보강 범위 - 보강 깊이 : 4~5m - 보강 수량 : 건물 외벽 줄기초 하부에 2~3m 간격으로 주입관을 설치하여 지반보강 - 보강공법 : 디록공법 6) 보강 도면(주입관 배치도) 3. 시공 사진 문화재 지반보강 사례 : 구 서울역사 문화재 지반보강 사례 : 구 서울역사 1. 공사명 : 구 서울역사 문화공간사업 지반보강공사 2. 공사목적 : 문화재 지정 구조물 리모델링, 하중증가로 지내력 부족 부위 지반보강 3. 구조물 개요 - 규모 : 지하1층~지상3층 - 구조형식 : RC 기둥+독립기초, 나무말뚝 기초 4. 문화재 지반보강 심의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 및 대책 - 노후화 및 강성 약한 시설물을 손상 없이 작업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 선택 주안점 - 천공 진동/수압에 의한 침하 우려 : 소구경(40mm) 타격 천공으로 사용수 최소화 - 주입압력에 의한 파손/부작용 우려 : 중력식/침투식 저압주입(주입압 2kg/cm2 이하) - 구조체 변형에 대한 방안 : 실시간 계측 통해 1mm 이상 변형 발생시 주입 종료 - 기초 천공으로 인한 .. 도심재생사업을 위한 지반보강 기술개발(한국건설기술연구원) 51A2A1010949.pdf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