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원·단어

뒷사모퉁이의 깨차팔

여름철 매일 멱감던 조그마한 저수지가 있었다.

지금에서야 승정제라는 공식 명칭을 알게 되었지만, 고향사람 중 이를 아는 이는 없을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깨차팔"로 통한다.

무슨 의미인지,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 감조차 잡을 수 없다.


보령시청과 대명중학교 사이에 있는 작은 저수지가 바로 깨차팔(승정제)이다.


불과 40~50년 전이었지만 당시 내 고향 동네 이름은 단순 그 자체였다.

산 뒷편에 있는 동네는 "뒷사모퉁이"(뒷산 모퉁이)

산 넘어 동네 이름은 "저너머"

동네 위쪽에 있는 곳은 "저위"

동네 초입에 있는 곳은 "턱굴?, 텃굴?"

바로 옆집은 "이도러", 좀 먼 옆집은 "저도러"

곱돌 성분의 큰 바위가 있던 곳은 "곱돌배기"

억새밭이 넓게 펼쳐졌던 곳을 "속불"(수풀이 우거져서?)

광산촌 아랫동네는 "오막단"(오두막집이 많아서?, 옥마산 밑자락이라서?)


동네 이름뿐아니라 사람 호칭도 비정상적이었던게 몇 있었다.

"미친박씨" 박씨 아저씨의 정신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던듯....

"꺾쇠" 키가 190cm 정도 되었던 양반.

"점백이" 얼굴에 큰 점이 있었던 어르신.

"현춘이" 아이들에게도 존칭없이 이름만 불렸던 주정뱅이.

"새집 큰아들" 20년 넘은 초가집이었건만 한번 새집은 영원한 새집, 그 집 큰아들이 나였다.


"주먹쥐고 일어서", "늑대와 춤을" 등 인디언식 이름보다 훨씬 단순한 작명법이 1980년대까지 고향 마을에서 통용된 것이다.



지금도 인근엔 공식 동네명이 "느랏", "오랏"이라는 곳이 있다.

'어원·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찾기  (0) 2016.05.24
'나쁜', '좋은'의 어원  (0) 2014.03.03
배(北) 비(比) 구(臼) 아(兒)  (0) 2014.02.07
침투주입  (0) 2014.02.04
도토리(acorn)  (0) 2013.11.20